-CBCI : 개념기반교육과정
-나무위키가 설명하는 IB
1) 4종류의 교육 프로그램
-
만 3세부터 만 12세까지의 학생들을 위한 6년제의 IB Primary Years Programme (PYP)
-
만 11세부터 만 16세까지의 학생들을 위한 5년제의 IB Middle Years Programme (MYP)
-
만 16세부터 만 19세까지의 학생들을 위한 2년제[1]의 IB Diploma Programme (DP)
-
만 16세부터 만 19세까지의 DP를 수강하지 않는 학생들을 위한 IB Career-related Programme (CP)
2) 과목 8가지
Language and Literature, Language Acquisition, Mathematics, Arts, Design, Individuals and Societies, Physical and Health Education, Sciences
3) 교육 방식
리포트, 조사활동(탐구활동)
-개념 : 깊은 이해를 위한 인지적 구성체이며 시간, 문화 및 상황을 초월하여 아이디어 전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
: 개념어와 토픽어를 구분하는데에는 '맥락'이 중요하다. 디테일하게 시각화 되는 건 토픽어
-매크로개념과 마이크로 개념
매크로 개념 : 소통
마이크로 개념 : 능동 청취, 적절한 형식, 관객, 문화규범, 언어/비언어, 보이스, 굴절, 톤 등
-한 개념에 구체적인 맥락성을 부여하는 것은 마이크로 개념들
EX) [3학년 사회] 통신수단의 발달과 생활모습의 변화
매크로 개념 : 통신
마이크로 개념 : 현재, 과거, 미래, 수단, 매체, 방법 변화, 생활모습
-지식기반의 과목이냐, 과정 기반의 과목이냐
: 지식기반 - 주로 주지과목들
: 과정기반 - 주로 예체능, 실과, 언어 과목들
<지식의 구조>
-토픽: 특정 시간, 장소, 또는 상황에 갇혀 있고, 전이하지 않음. 사실을 한 틀로 묶음
-과정: 결과를 생성하고 단계를 통해 이동하는 작업
-전략: 의도한 결과를 지원하고 달성하기 위해 조정하고 모니터링하는 계획
-스킬(기술): 전략의 효과를 '허용'하는 소규모 작업
-개념기반 탐구중심 수업의 스캐폴딩(비계)는 가이딩 질문을 통해 이뤄짐
-사실적 질문 > 개념형성 질문 > 개념적 질문을 통해 일반화에 다가갈 수 있음
<가이딩 질문의 4가지 유형>
-사실적 질문(답이 딱 떨어지는 수렴적 질문)
: 개념적 질문의 토대 형성
: 특정 지점에 대한 생각 집중
-개념 형성 질문(00 이란 무엇인가?)
: 단원을 주도하는 개념을 식별
: 사전적 정의 및 특성에 집중
-개념적 질문(더 생각하게 하는 질문)
: 여러 예제 및 상황에 거쳐서 전이
: 연결 촉진하는 개념적 관계에 대해 질문
-토론을 위한 질문(시비거는 질문)
: 옳고 그름이 아니라 자기의 답을 방어할 수 있는 질문
: 다양한 출처와 관점의 분석 및 종합을 필요
<이해를 확인하는 평가>
: 이해를 정확하게 확인 할 수 있는 평가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
: 문항을 디테일하게 설정해야 학생의 이해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
: 이해의 저옫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적(문항적) 스캐폴딩이 필요함
: 학생 성과물은 학생의 이해를 확인하는 증거가 됨(증거기반평가)
RAFTS 평가모델
: ROLE / AUDIENCE / FORMAT / TOPIC / STRONG VERBS AND ADJECTIVES
-개념기반탐구 CBI
: 탐구기반 학습 + 개념기반 학습 = 개념기반탐구학습!
: 직접교육 > 구조화된 탐구 > 안내형 탐구 > 개방형 탐구 > 발견 학습
: 선택권이 부여된다고 학생들의 주도성이 높아지지 않음. 교사의 의도에 따라 탐구의 유형을 선택해야 함.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