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<<규칙으로 문제 해결>>
①메일 자동 분류

-Knowledge base(지식베이스) : 핵심 용어와 그에대한 가중치를 찾아서 새로운 카테고리를 만들어 분류하는 방법. 확률 기반 분류와 규칙 기반 분류로 나눌 수 있음.
-문서 분류의 과정 : Sim(D, C¡) = D는 용어, C¡는 i번째 범주 = 문서를 유사도가 가장 높은 범주에 분류
②의사의 댕기열 진단(규칙 기반 분류)
발진 | 발열 | 두통 | 기침 | 구토 |
O | O | O | X | O |
-규칙 기반 분류에 따라, OOOXO 의 규칙을 만족시 댕기열로 진단. 이런 간단한 규칙 적용은 인공지능이 아님. 데이터를 통해 이런 패턴을 만들어 내는 기계학습 과정이 있어야 인공지능이라 할 수 있음.(스스로 패턴 생성 및 학습)
<<규칙 기반 분류의 응용>>
①챗봇(chat bot) :
-주어진 규칙에 따라 답변(규칙을 벗어난 답변 불가)
-자카드유사도

②과일 분류기
-무게의 규칙을 이용해 과일 분류 ( 다중 기준으로 분류도 가능)
③단순화된 규칙 기반 분류 과정

1) 규칙 찾기 게임 : IQ 테스트는 대표적인 규칙 찾기 위주의 테스트
2) 도형에서의 규칙 찾기 : 한 붓그리기 / 규칙 찾아 도형 그리기
반응형
'교육은 한 사람의 인생을 바꾼다 > AI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렌지(orange) 머신러닝 핵심 위젯 파악 (0) | 2023.01.24 |
---|---|
확률과 통계 기반의 다양한 AI 알고리즘 (0) | 2023.01.23 |
인공지능 교육의 동향 및 변화 (0) | 2023.01.21 |
인공지능의 역사와 종류 (0) | 2023.01.20 |
AI 교육과정 : AI 언플러그드 활동 (0) | 2023.01.19 |
댓글